디지털전환에 따른 사회부문 국가발전지표 진단연구
빅데이터로 진단하는 사회
연구수행주체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개요
빠르게 진화화는 디지털기술이 사회부문에 갖는 영향들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고, 그 변화들도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기 때문에, 관련 통계지표들을 기술과 사회변화에 맞게 수정, 보완하고, 새롭게 등장하는 현상들을 이해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통계지표들도 도출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전환으로 인한 사회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통계를 작성하는 프레임워크 구축이 필요함
현재 한국에서 생산되는 디지털전환과 사회변화 관련 통계는 KOSIS 국가통계포털, ICT통계포털 등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화통계조사’,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웹접근성실태조사’,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국민여가활동조사’,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등이 있음.
각 통계들은 그동안 한국이 정보사회로 접어들게 되면서 경험한 다양한 현상들을 포착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되었으며, 대표적인 통계지표로는 인터넷 이용률, 스마트폰 보급률, 디지털 격차 지수, 전자상거래 거래액, 모바일 결제 이용률, 소셜미디어 이용률,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률, 사이버 보안 사고 발생 건수 등이 있음.
하지만 이 통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한계들이 있음.
먼저 디지털기술환경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새로운 기술과 플랫폼이 계속해서 등장하며, 이러한 변화는 디지털전환과 사회변화 관련된 통계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관련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만들고 있음.
통계는 지속성이 중요한데, 디지털기전환과 사회에 대한 통계들은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의미가 줄어드는 통계들이 많아짐
또한 새로운 디지털기술은 새로운 사회의 변화를 가져오는 데, 이때 새로운 통계지표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의 통계들을 과감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해야 하는 특성이 있음.
한편 디지털기술은 워낙 다양하며, 그것이 미치는 사회적 영향 역시 가시적이지 않은 것들도 있기 때문에 디지털기술이 미치는 사회적 영향 관련된 통계는 상관 관계를 보여줄 수는 있지만, 인과관계를 확립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음
관찰된 결과에 기여하는 다른 기저 요인이 있을 수 있어 디지털기술의 정확한 영향을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음
이에 인과관계까지 찾아낼 수 있는 지표들을 도출하여 그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함.
또한 디지털전환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자세하게 살펴보는 것이 필요함.
디지털전환이 노동과 소득 등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신뢰, 사회자본 등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 행정서비스활용 등 공공서비스활동에 미치는 영향, 행복도, 우울증, 건강, 복지 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들을 모두 고려하여 이를 세부적으로 분석하면서도, 서로 연관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계지표들과 그 프레임워크가 필요함.